본문 바로가기
경제

EV/EBITDA 투자용어 쉽게 정리하기

by 피드로그 2023. 10. 2.
반응형

EV/EBITDA란 기업가치를 평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. EV/EBITDA의 개념과 중요성에 대해 알아보고, 어떻게 이 지표를 활용하여 기업을 평가하는지 살펴보겠습니다.

 

 

 

EV/EBITDA가 무엇인가요?

  • 기업가치 = EV(Enterprise Value)
  • 연간 영업이익 = EBITDA(Earnings Before Interest, Taxes, Depreciation, and Amortization)

"EV/EBITDA"란 기업가치(EV)를 기업의 연간 영업이익(EBITDA)로 나눈 지표입니다. 

 

EV 기업 총 가치는 기업의 시가 총액에 순차입금을 더한 것으로, 현금 자산을 제외한 차입금을 포함합니다.
EBITDA 는 기업의 영업이익으로 이자, 세금, 감가상각, 무형자산의 감가상각 등을 고려치 않은 순수한 영업 이익을 나타냅니다.

 

EV/EBITDA는 기업의 가치를 벌어들인 순 영업이익으로 나눈 수치입니다.

 

 

EV/EBITDA가 중요한 이유

  • 높은 EV/EBITDA 비율은 투자금 회수까지 더 오랜 시간이 걸릴 수 있음을 나타냅니다.
  • 기업 간에 비교할 때 효과적이며,  순수한 이익 능력을 비교할 때 유용합니다.

위의 표는 미래 12개월 가치를 추정하여 EV/EBITDA 수치와 지난 12개월 과거데이터 EV/EBITDA를 나타낸 표입니다.

  • 다음 12개월 추정치에서 아마존은 순 영업이익이 기업가치만큼 벌어들이려면 13.33년이 필요하다는 의미입니다.
  • 그럼 여기서 EV/EBITDA 수치를 보고 가장 시장에서 기업의 가치가 저평가된 기업을 선택 할 수 있겠죠?

 

 

EV/EBITDA의 시사점은 무엇인가요?

  • EV/EBITDA가 낮을수록 기업의 가치가 상대적으로 저평가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.
  • EV/EBITDA 과거 데이터와 미래의 수치로 현시점 가치를 평가 할 수 있습니다. 
  • 대규모 자산, 감가상각 비용이 많이 들어가는 기업에 대한 평가에 유용합니다. 이러한 기업은 EV/EBITDA를 활용하여 투자 가능성을 평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

 

EPS/EPR 투자지표 함께보기

 

EPS와 PER 투자용어 쉽게 정리하기

EPS(주당순이익)과 PER(주가수익비율) 투자자가 회사 주식의 재무 건전성과 가치를 평가하는 데 사용하는 중요한 지표입니다. 주당순이익(EPS)과 주가수익률(PER 또는 P/E 비율)이라는 두 가지 용어

feedlog.tistory.com

 

EV/EBITDA의 한계는 무엇인가요?

  • EV/EBITDA는 투자자가 기업을 평가하는 데 도움을 주지만, 모든 상황에 적합한 것은 아닙니다.
  • 각 기업마다 감가상각 방식이 다를 수 있고, 현금 흐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습니다.

 

 

이 지표를 단독으로 사용하여 기업을 평가하는 것은 위험할 수 있으며, 다른 지표와 함께 고려하는 것이 좋습니다.

반응형